민들레 갓이 둥글게 피어오른 솜털 뭉치 안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
작고 연한 홀씨들 사이로 알락수염노린재
하얀 솜털과 잘 어울리는 붉은 등판
민들레 갓, 그 여린 품은 작은 생명에게 아늑하고 완벽한 피난처
바람도, 비도 스며들지 못하는 신비로운 자연의 요람
한 생명의 덧없음과 또 다른 생명의 충만한 시작이
한 꽃대 위에서 교차하는 순간
민들레는 소임을 다하고 땅으로 돌아가지만,
그 위에서 꿈틀거리는 노린재는 다가올 계절의 번영을 노래합니다.
알락수염노린재(Dolycoris baccarum)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 이용
알락수염노린재(Dolycoris baccarum)는 우리나라에 흔하게 발생하는 노린재과 해충
특징 및 형태
- 크기: 성충의 몸길이는 약 9.5~14.5mm 정도
- 색깔:몸은 회황색 바탕에 황갈색 또는 적갈색 무늬가 있어 변이가 다양, 몸 전체에 가는 회백색 털
- 더듬이: 이름처럼 더듬이(수염)가 검은색과 흰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보여 특징.
- 배: 배의 결합판은 황갈색이며, 각 마디의 앞뒤 가장자리는 검은색 가로무늬
- 알: 알은 길이가 약 1.3mm 정도로 연분홍색의 도토리 모양
생태
- 분포: 국내 전역에 걸쳐 분포하며, 일본, 중국, 몽골, 러시아, 유럽 등에서도 발견
- 월동: 성충으로 식물의 뿌리 부분이나 농작물 잔재물, 잡초 등에서 월동
- 활동 시기: 이른 봄(3월)부터 늦가을(11월)까지 활동하며, 주로 4월~10월 사이에 흔함
- 발생 횟수: 연 2회 발생하며, 1세대 성충은 6~7월에, 2세대 성충은 9~10월에 많이 나타남
- 산란: 5월 중순경에 무리를 지어 교미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, 한 번에 약 20~40개씩 무더기로 알을 낳습니다. 총 100여 개의 알
- 생육 기간: 알 기간은 약 4일, 약충 기간은 22~25일 정도
피해
알락수염노린재는 주로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어 작물에 피해를 줌
- 다양한 기주: 콩과(콩, 팥, 녹두), 벼과(벼, 보리, 옥수수), 십자화과(무, 배추), 장미과(사과, 배, 복숭아 등 과수) 등 광범위한 작물과 식물에 피해를 줍니다. 오동나무에서도 많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 곡물 피해: 벼, 콩, 팥 등의 꽃이나 덜 여문 종자의 즙액을 빨아먹어 쭉정이가 되거나 종자에 흠집이 생깁니다. 쌀알에는 검은 반점(반점미)이 생기게 합니다.
- 과수 피해: 과일을 흡즙하여 상처를 내고, 그 부위가 썩거나 기형과를 발생시킵니다.
- 잎 피해: 어린 약충이나 성충이 잎을 가해하면 초기에는 흰 점이 생겼다가, 잎이 자라면서 상처가 구멍이 되고 잎이 너덜너덜해지기도 합니다. 심하면 기형 잎이 발생하고 전체적인 생육이 위축됩니다.
- 피해 증상 확인의 어려움: 어린 새순을 가해할 경우 초기에는 피해 증상이 잘 관찰되지 않아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습니다.
방제 방법
알락수염노린재는 이동성이 낮고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보다 높아 방제하기 쉬운 편입니다.
- 관찰 및 예찰:
- 개화기부터 열매가 여물기 전에 주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합니다.
- 봉지 씌우기를 하지 않은 과일은 구침으로 찔러 즙액을 빨아 먹은 흔적을 조사하거나 성충의 밀도를 조사합니다.
- 페로몬 유인트랩을 설치하여 개체수를 예찰하고 포획할 수 있습니다.
- 물리적 방제:
- 발생 초기에 어린 유충이나 알이 군집으로 모여 있는 것을 발견하면 손으로 잡아 없앱니다.
- 막걸리 트랩, 페트병을 이용한 자가제조 트랩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 화학적 방제:
- 초봄부터 노지 식물체 근처에서 월동한 성충이 재배지로 날아와 가해하기 시작하므로, 성충이 발견되면 즉시 방제해야 합니다.
- 경제적 피해 허용 수준을 넘을 우려가 있다면 작물보호제를 살포합니다.
- 채소류의 경우 등록된 약제가 없을 수 있으므로, 진딧물이나 나방류 방제용 농약 중 노린재 방제가 가능한 약제를 발생 지점 위주로 부분 살포할 수 있습니다.
- 월동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10월경 겨울나기에 들어가는 개체를 방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- 친환경 방제: 친환경 유기농 자재를 살포하여 밀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.
- 천적 활용: 자연 발생 천적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알락수염노린재는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, 농작물 재배 시 꾸준한 관찰과 적절한 방제 노력이 필요합니다.